오늘은 대한민국을 안전하게 지켜주시는 경찰 계급표와 승진을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남성분들이라면 군대에 다녀오셔서 어느정도 계급표는 안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군대와는 조금 다를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보통 관련된 업무를 보시거나 현직이신 분들이 아니라면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나중에 이 직업을 목표로 열심히 준비하시는 분들은 오늘 정확한 경찰 계급표를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순경->경장->경사
가장 먼저 달게되는 계급은 순경이죠
공채로 모집을 하며 중앙경찰학교에서 교육 이수 후 기동대, 지구대, 파출소에서 실무를 시작하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군대로 설명을 드려본다면 부사관 학교를 졸업하고 하사에 임관하여 자대배치를 받게 되는 것이죠
다음 순경에서 경장으로 진급을 하는데 순경과 동일한 업무지에서 근무를 하시거나 전의경 중대 및 내부의 소대 부관의 업무를 보기도 합니다.
다음 경찰 계급도는 경사입니다.
군대로 빗대어 설명하면 소대장과 같은 위치라고 할 수 있어요.
그만큼 복무기간에 대한 경험이 있으시고 내부에서는 부장이라는 호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경위->경감->경정->총경 경위부터는 경찰대학을 졸업하거나 간부 후보생 시험을 통과하면서부터 시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군대로 생각하면 장교인 소위부터 업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다른 예로 공무원을 말씀드리면 6급이라 볼 수 있고 주임이는 호칭으로 불리게 되는데요
위 경찰 계급표 마크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가운데 태극장은 만물의 근원으로 대한민국과 국민을 상징하며 무궁화는 조직 내에서 가장 중추적인 중견 경찰 간부를 뜻합니다
경위로 임명받고 실무에 투입하게되면 지구대 순찰팀장, 경찰서 계장급, 파출소장 등으로 근무하게 되며 경위에서 경감으로 승진하면 경찰서 주요 계장 및 팀장, 지구대장, 지방청 반장으로 근무하게 되는 것이죠
경장으로 승진하면 경찰서 과장, 경찰청 지방청 계장으로 근무하게 되며 높은 직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을 예를들어 말씀드리면 5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총경은 경찰서장, 경찰청 과장급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총경 승진은 시험에 통과해서 진급되는게 아니라 내부의 인사심사로 선발되서 승진이 되는데요
많은 경찰분들이 총경을 1차 목표로 두고 있을 정도로 경찰의 꽃이라고 불리우는 직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무관->치안감->치안정감->치안총감 이제부터는 3급 공무원에 해당하는 직급으로 일반적인 승진으로는 할 수 없기도 하는 것이죠
3급->2급->1급->차관급으로 우리나라 경찰 최상위이기 때문입니다
군대로 말씀드리면 준장 소장 중장 대장 등 장군급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 것이죠
경무관은 지방청차장, 경찰청 심의관, 수사연수원장, 지방청부장 등으로 근무하게 되구요.
치안감은 지방경찰청장, 경찰교육원장, 경찰청국장, 중앙경찰학교장 등으로 업무를 보게 되는 것이빈다
치안정감은 경찰청 차장, 쳥찰대학장으로 업무를 보게되며 대망의 마지막 치안총감은 경찰청장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여기까지 경찰 계급표를 통해 순서대로 알아보는 승진과정을 알아봤습니다
큰 틀에서 보면 군대 계급과 구성이 비슷한것을 알 수 있죠 그래도 명칭은 완전 연관성이 없다보니 일반적인 분들이라면 잘 모르시는 것도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